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 전국 14곳에 1,786가구 공급 확정

- 고령자복지주택·청년특화주택·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등

국토교통부가 올해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개 지역에 총 1,786가구의 특화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고령자, 청년 등 특정 수요층의 주거 안정과 맞춤형 복지·일자리 지원을 목표로 한다.

올해 4월부터 두 달간 진행된 공모 결과, 고령자복지주택 368가구(4곳),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159가구(3곳), 청년특화주택 176가구(3곳),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83가구(4곳) 등 총 1,786가구가 최종 선정됐다. 공급 지역은 경기 광명·동두천·부천·포천, 강원 삼척, 전북 고창·부안, 울산, 제주 서귀포 등 총 14곳이다.



특화주택은 거주 공간 외에도 사회복지시설, 돌봄 공간, 공유 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함께 제공해 입주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도입된 ‘지역제안형’은 지역 특성에 맞는 입주 조건을 지자체가 직접 설계할 수 있어 이번 공모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제안됐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총 1,083가구 규모로 경기도 부천, 동두천, 포천, 그리고 강원도 삼척에 공급된다. 경기도 부천시 부천대장 3기 신도시에는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함께 거주하며 돌봄 기능을 수행하는 특화주택 741가구가 추진된다. 이는 3기 신도시 복합개발용지에 중산층까지 입주 대상을 확대한 첫 공공임대 주택 사례다. 경기도 동두천시에는 청년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해 입지가 우수한 지행역 인근에 청년·신혼부부 대상 21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강원도 삼척시에는 탄광근로자와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재학생을 위한 100가구를 공급하며, 세대 간 교류를 위한 멘토링, 심리상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경기도 포천시에는 원거리 출퇴근하는 청년 군무원을 위한 32가구를 공급해 지역 정주 인구 확보와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울산광역시(2곳, 214가구), 경기도 부천시(100가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54가구)에 총 368가구가 공급된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과 함께 건강 및 여가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을 함께 제공한다.

청년특화주택은 전북 부안군(100가구), 전북 고창군(40가구), 울산광역시(36가구)에 총 176가구 규모로 추진된다. 울산광역시는 울산대학교 재학생을 위해 공유거실, 공유주방, 공유오피스 등 청년 선호 특화시설을 지원한다. 인구 소멸 위기를 겪는 전북 고창군과 부안군에는 청년 인구 유입 및 정착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각 40가구, 100가구를 공급한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경기도 광명시(123가구)와 울산광역시(36가구)에 총 159가구가 공급된다. 이는 청년 창업가, 중소기업 근로자 등에게 직주 근접성을 확보해주고 창업센터, 공동 업무 공간 등 지원시설을 제공해 경제 활동과 주거 안정을 동시에 돕는다. 특히 울산 온산국가산단 근로자를 위한 36가구는 행정복지센터와 문화체육센터 인근에 위치해 생활 여건이 우수하다. 경기도 광명시에는 내년 준공 예정인 광명시흥 일반·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광명학온 공공주택지구에 총 123가구를 추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선정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절차를 적극 지원하고, 향후 사업설명회와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특화주택 사업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NEW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우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