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도시의 미래를 새롭게 그리다” 전국 최초, 4대 광역생활권계획 수립

- “4대 광역생활권, 경남 맞춤형 발전 전력으로 지역혁신 이끈다.”
- 동부‧서부‧남부‧북부권별 차별화된 비전으로 미래 성장 주도
- 자원과 기능의 균형, 경남형 스마트 공간전략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유도


경상남도는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의 핵심인 4대 광역생활권 계획(안)을 마련했다. 2025년 3월 4일 실국본부 보고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각 권역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들을 논의했다.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은 인구감소와 도시경쟁력 약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수립되는 광역도 단위의 공간전략 종합계획으로 경남도 전역을 동부‧서부‧남부‧북부로 구분하고, 각 생활권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미래상과 함께 분야별 목표와 발전전략을 제시한다.

광역생활권은 도민의 통근‧통행량, 목적별 생활 활동 등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과 관련 계획, 도민 설문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설정했다. 권역별로 잠재력과 한계를 도출하고, 소득·고용·교육·주거 등 도민 생활 서비스 수준, 생활 활동, 국토모니터링을 통한 분석으로 공간적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반영해 시군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권역별 발전전략을 도출했다.

동부 광역생활권(창원, 김해, 양산, 밀양, 함안, 창녕)은 ‘동남권 미래 성장을 주도하는 첨단혁신 거점권(Brain Region) 동부권 조성’1)으로 미래상을 설정했다.

첨단산업과 인재 육성으로 동남권 핵심 중추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주거·정주 환경, 산업·일자리, 문화·관광, 복지·안전 분야의 핵심전략과 과제를 도출하고 공간 구상을 체계화했다. △마산역‧창원중앙역 등 광역교통지 중심의 보행 일상권 조성 △트라이포트 배후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그린스마트시티·물류기지 구축 △가야 역사문화 거점을 중심으로 낙동강·해양 광역 관광벨트 확산 △지역사회 중심 올케어 통합지원 등의 전략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 NEW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