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신시장’ 공항수출 늘린다…전담 지원체계 가동

정부가 공항 개발·운영사업의 수출 성과를 높이기 위해 7대 주요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추진 상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핵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고위급 수주 지원단을 파견하고 대규모 투자에 적합한 금융지원을 늘리는 등 수출 확대를 위한 전담 지원체계도 갖출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업계·전문가 의견수렴, 항공정책위원회 논의 등을 거쳐 이 같은 내용의 ‘공항 해외수출 촉진방안’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해외공항 개발은 철도와 도로에 이은 3대 인프라 시장이다. 향후 항공수요가 회복될 경우 그동안 중단됐던 각국의 공항개발사업이 점진적으로 재개되며 투자규모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23년, 세계공항협회(ACI)는 2023∼2024년 항공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각각 예상한 바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맞춰 정부는 주요 해외 프로젝트 관리, 고위급 수주지원단 파견 등 해외공항 개발사업 수주 지원활동을 해왔다.

그 결과 지난해 폴란드 신공항 개발 인프라 업무협약 체결(2월), 에콰도르 만타공항 운영권 확보(4월), 라오스 루앙프라방 공항개발 사업 수주(5월), 페루 친체로 신공항 터미널 공사 수주(7월),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운영·개발사업 계약 체결(12월) 등의 성과를 거뒀다.

다만 학계·전문가들이 평가한 결과, 국내 공항수출 경쟁력은 공항 운영·기술력 분야에서는 비교우위가 있으나 사업모델 구축·인력양성 등 분야에서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러한 평가를 반영 ▲주요 공항 프로젝트 선정·관리 ▲사업 발굴·기획 지원 강화 ▲전담 지원체계 확보 ▲협력체계 구축 및 인력양성 등 4개 분야에서 공항수출 촉진방안을 마련·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이미 발굴된 공항 프로젝트 중 사업의 경제적 효과, 수주지원 다각화, 수주 가능성 등을 종합 고려해 주요 공항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동유럽 최대의 복합운송 허브로 계획 중인 폴란드 신공항과 베트남 최대 공항사업인 롱탄 신공항을 2대 핵심 프로젝트로 확정했다.  

이와 함께 페루 친체로 신공항 등 중요도 높은 사업을 5대 중점관리 프로젝트로 별도 선정해 상시 지원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향후 반기 단위로 운영 중인 해외공항개발 추진 협의회를 확대해 월 단위로 과장급 실무협의체를 가동, 사업별 현안사항 등을 상시 논의하고 최신동향 등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기로 했다.

아울러 수출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시행한다.

공항 운영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아시아·중동 등 잠재력은 높으나 시설 노후화 등으로 경쟁력이 확보되지 못한 공항을 중심으로 진출방안을 모색한다.

아시아·중동은 코로나19 이후 여객 증가로 개발수요가 높은 만큼 투자개발형 또는 건설사업 등 신공항 개발사업과 위탁운영 수주에 집중한다.

반면, 비교적 성숙한 시장인 유럽에 대해서는 신규 시장인 동유럽 개척에 주력하는 한편 안정적으로 운영 중인 서유럽 중·대형공항을 중심으로는 선별적 지분인수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인천·한국공항공사가 각 기관의 강점에 따라 해외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천공항공사는 대형공항 운영의 강점을 살려 선진국 공항 지분인수 및 투자개발사업에, 한국공항공사는 아시아 등 신흥국 중소형 공항개발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핵심·중점관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고위급 파견, 국제행사·교육과의 연계 등 지원활동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온라인 장·차관급 양자회담 등을 통해 G2G 계약 지원을 본격화하고 우리 기업 애로 해소 등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해마다 실시 중인 개도국 항공종사자 교육훈련 사업은 수주 유망국가 중심으로 집중시행하고 공항 개발사업은 대규모 투자개발(PPP) 또는 지분투자 구조가 많은 만큼 특화된 금융구조를 지속적으로 마련한다.

아울러 해외 인프라 협력센터, 해외건설협회, 현지 상공회의소 등 채널을 통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동안의 수주국을 지역별 거점으로 활용하고 현지 진출기업·해외 주재원 등 인적 네트워크도 다각화한다.  

글로벌 공항 운영사·개발사와의 인력교류 및 해외사업 공동참여를 확대하고 고급 숙련 기술자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개편과 자격·인증제 도입도 검토한다.

주종완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이번 대책은 해외공항 분야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성장의 새로운 기회로 삼기 위한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마련한 것”이라며 “대책에 포함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향후 민관이 힘을 모아 지속적으로 구체화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NEW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