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내일(My Job+Tomorrow), 금융을 더하다” 「2025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 개최

- 9회째를 맞이한 올해 박람회에 역대 최다 규모인 80개사 참가
- 은행권 우수 현장면접자에게는 향후 공채 서류전형 면제 혜택 제공
- 박람회 방문이 어려운 구직자들을 위해 화상(온라인) 모의면접․상담 제공

8월20일(水) ~ 21일(木) 양일간, 「2025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된다.

2017년부터 시작하여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이번 박람회는 은행․증권․보험․ 금융공기업 등 금융기관 76개사와 핀테크․IT 기업 4개사 등이 참가한 역대 최다 규모인 80개사가 참여하여 다양한 일자리 창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개막식은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 및 80개 금융기관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 되며, 금융위원회 유튜브(https://www.youtube.com/@FSCKorea)를 통해 생중계된다.
* 일시/장소 : 8.20일(수) 09:20 ~ 09:50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컨퍼런스 홀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금융권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 직무 다변화 등을 통해 청년 신규 일자리를 적극 창출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청년들의 금융권 취업을 독려하였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은 축사에서, 금융권의 청년 일자리 확대에 역점을 두고 청년의 취업고민 해소를 위해 앞장서 주기를 당부하면서, 국회에서도 청년들에게 폭넓은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받는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금융산업이 하나의 산업으로서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하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좋은 일자리도 만들어 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금융권에서 앞으로도 채용에 적극적으로 나서주고, 청년들이 금융부문 업무를 체험할 수 있는 인턴의 기회도 많이 제공해 주길 당부하였다.

특히, 생산적 분야로 자금 공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금융기관들이 담보대출 위주의 전당포식 영업보다는 청년들의 아이디어와 열정이 있는 창업, 스타트업, 벤처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을 적극 공급해야 하여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실제 채용과 연계된 현장면접, 모의면접 및 채용상담, 금융산업 동향 및 조직문화 등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필기시험․면접 관련 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현장면접은 12개 은행에서 사전 서류심사를 통과한 청년구직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우수면접자로 선발되는 경우, 향후 해당 은행 채용지원 시 서류전형 면제 혜택 1회가 주어진다.

12개 은행 중 8개 은행(IBK기업, IM, KB국민, NH농협, Sh수협, 신한, 우리. 하나)은 양일간 현장면접을, 그 외 4개 은행(BNK부산, BNK경남, 광주, 전북)은각 1일씩 현장면접과 상담을 진행한다.

18개 금융공기업은 모의면접을 통해 면접 경험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그 외 50개 참가기관은 상담을 통해 인사담당자가 구직자를 대상으로 1:1 채용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이번 박람회부터 박람회 직접 방문이 어려운 구직자를 위해 화상 모의면접 및 상담을 도입하였다.

다양한 컨퍼런스도 개최되는데, 빅테크․핀테크 등 금융 신산업 분야의 동향 및 채용정보, 각 기관의 조직문화 및 채용 트렌드 등이 소개된다.

그리고, 특강을 통해 업권별 필기시험 노하우, 면접 관련 표현력 향상 방법 등을 공유한다.

이외에도 올해 처음으로 박람회장 내에 별도 탈의실과 휴게공간을 마련하여 구직자들의 편의를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박람회 종료 후에도 청년구직자에게 지속적인 금융권 취업정보 제공을위해 박람회 홈페이지*를 9월 중 금융권 채용정보 플랫폼으로 전환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 기존 박람회 홈페이지 주소(www.financejobfair.co.kr)와 동일

<저작권자 ⓒ NEW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사랑 기자 다른기사보기